본문 바로가기
약 사용법/먹는 약 사용법

카리메트 산, 과립, 현탁액 복용법 ( 칼륨 )

by drug prince(약 사용법) 2022. 5. 3.
반응형

알트-변화
카리메트

 

고칼륨혈증 치료에 사용하는 카리메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복용법

 

1포씩 하루 3번 복용하며 2포씩 하루 3번까지 증량할 수 있다. ( 하루 최대 6포 ) 바로 입에 털어 넣어서 복용하면 너무 역하므로 30-50ml ( 소주잔 )에 타서 균질하게 섞은 후에 복용하면 된다. 주기적으로 혈액검사를 하며 칼륨 수치를 보고 용량을 조절하며 혈액 내 칼륨이 5 mmol/L 이하 시 중단한다. 하루에 3번 균일하게 복용할 때도 있고 필요시에만 복용할 수 있는데 칼륨이 풍부한 과일을 복용한 후에 카리메트를 복용하도록 처방 나올 수 있다. 보통 하루에 3포~5포 정도 복용하였을 때 칼륨 수치가 1 mEq/L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카리메트 은 가루가 고와서 환자들이 삼키다가 목에 잘 걸린다고 표현한다. 카리메트 과립이 잘 삼켜지고 물에도 더 잘 섞여서 더 많이 선호되는 편이다. 

 

경구로 복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직장으로도 투여할 수 있다. 6포를 물 100ml에 잘 섞은 후 체온 정도로 가온한 후 직장으로 투여한다. 30분에서 1시간 정도 장관 내 방치해야 하며 액이 새지 않도록 엉덩이 밑에 베개를 깔거나 보호자가 엉덩이를 잡아준다. 물 대신에 2% metylcellulose 나 5% 포도당 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소아에게 직장으로 투여할 때는 500mg/kg/day로 용량을 계산하며 최대 용량은 1000mg/kg/day이다. 예를 들어 10kg인 소아인 경우 하루 용량이 5000mg(=5g)이므로 1포이다. 

 

▶ 성분과 작용기전

 

폴리스티렌 설폰산 칼슘 ( polystyrene sulfonate calcium ) 5g

 

양이온 교환수지로서 칼슘과 칼륨을 교환한다. 직장 내 특히 결장 위치에서 카리메트의 칼슘(Ca2+) 이온과 몸속의 칼륨(K+)이 교환된 후 배변을 통해 배설된다. 특히 신부전 환자들은 칼륨 배출을 원활히 하지 못해 고칼륨혈증이 나타난다. 우리 몸에서 칼륨의 정상수치는 3.5~5.1 mEq/L이다. 칼륨은 우리 몸에서 체내 수분의 양 조절, 산-알칼리 균형 조절, 근육 수축 조절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칼륨의 수치가 너무 높거나 낮아지면 쇼크, 부정맥, 호흡곤란이 오며 사망할 수 있다. 

 

▶ 부작용

 

변비, 저칼륨혈증, 식욕부진, 고칼슘혈증, 구토, 장 천공, 장폐색, 장궤양 

특히 장 천공이나 폐색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평소에 배변 상태를 확인해야 하며 심한 변비, 복통, 구토, 하혈 시 중단해야 한다. 

 

▶ 상호작용

 

씬지로이드, 씬지록신 : 카리메트와 복용하며 씬지로이드와 흡착하여 씬지로이드의 흡수를 저해한다. 간격을 띄우고 복용해야 한다.

제산제, 변비약 : 알루미늄(Al), 마그네슘(Mg), 칼슘(Ca) 등을 함유한 제산제나 변비약은 카리메트의 양이온 교환수지에 본인들이 결합해버린다. 그로 인해 몸속의 칼륨 결합능력이 감소하여 칼륨을 빼낼 수 없다. 간격을 띄우고 복용해야 한다. 겔포스, 마그밀, 알마겔정, 알마겔 에프 현탁액 등

디곡신 : 칼륨농도 저하로 디지탈리스 중독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시야 흐림, 어지러움, 구토, 부정맥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