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약 사용법/먹는 약 사용법

디트로판, 토비애즈, 베시케어, 비유피 ( 요실금 )

by drug prince(약 사용법) 2022. 7. 4.
반응형

알트-변화
방광 이미지

절박성 요실금 예민해진 방광으로 인해 방광이 다 차지 않았음에도 갑자기 소변이 나오는 질환이다. 방광을 감싸고 있는 배뇨근 콜린 수용체(무스카린)β3 수용체에 영향을 받는 평활근이다. 

 

 

 항콜린성 약물 ( 항 무스카린성 )

배뇨근의 수축은 무스카린 수용체에 영향을 받는다. 무스카린 수용체는 M1, M2, M3, M4, M5으로 5개 종류로 알려져 있다. 우리 몸에 M2가 많으며 방광에도 M2가 많으나, M3 수용체는 배뇨근의 직접적인 수축에 관여하므로 요실금 약물은 주로 M3 수용체에 작용한다. 무스카린 수용체를 억제하면 배뇨근이 이완하며 방광의 용적이 증가하며 소변을 잘 저장할 수 있게 된다. 

( 무스카린 수용체 억제 → 배뇨근 이완 → 방광 용적 증가 → 소변 저장능력 증가 )

 

 

 

디트로판정

알트-변화

oxybutynin 5mg ( 옥시부티닌 )

 

1회 1정씩 하루에 2번~3번 복용한다. 하루 최대 복용량은 20mg (4정)이다.

옥시부티닌은 항무스카린 효과 이외에도 배뇨근을 직접 이완하는 효과가 있다. 절박성 요실금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약물인 표준 약물이다. 

옥시부티닌은 3급 아민이어서 지용성이 높다. 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중추신경계를 통과해 인지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또한 옥시부티닌이 대사 되면서 생성되는 물질은 입마름 일으킨다. 그러나 옥시부티닌의 서방형 제제인 라이리넬정은 이러한 입마름 부작용이 적은 편이다.  옥시부티닌의 부작용으로는 기립성 저혈압, 졸음, 체중 증가 등이 나타날 수 있다. 

 

 

토비애즈 ( 4mg, 8mg )

알트-변화

fesoterodine ( 페소테로딘 )

 

1일 1회 4mg 1정을 투여한다. 식사와 무관하며 서방형이므로 씹거나 분할하지 말고 1정을 물과 함께 삼켜야 한다. 치료효과는 2주~2달 후에 나타나므로 꾸준히 복용해야 하며, 효과가 없을 시 1일 1회 8mg까지 증량할 수 있다. 

페소테로딘은 몸속에서 톨테로딘(tolterodine)으로 대사 된다. 방광에 선택적이며 요즘 가장 많이 사용되는 약제 중 하나이다.

 

 

베시케어 (  5mg, 10mg ) 

알트-변화

solifenacine ( 솔리페나신 )

 

1일 1회 5mg 1정을 복용하며 식사와 무관하다. 효과가 없을 시 10mg으로 증량한다. 

M3 수용체에 선택적으로 작용하여 방광에 선택적이며 부작용이 적다. 그러나 신장기능이 떨어져 있거나 중증의 간질환자는 1일 1회 5mg을 넘겨서는 안 된다. 

 

 

 

디트루시톨 캡슐 ( 2mg, 4mg )

알트-변화

tolterodine ( 톨테로딘 )

 

1일 1회 4mg 1 캡슐을 복용한다. 신장, 간 기능이 떨어져 있거나 항진균제를 복용 중인 환자는 1일 1회 2mg 1 캡슐을 복용한다.  식사와 무관하게 복용한다. 

 

 

 

 

스파스몰리트 당의정

알트-변화

trospium 20mg ( 트로스퓸 )

 

1일 2회 1정씩 복용한다. 씹거나 분할할 수 없고 1정 그대로 복용해야 한다. 음식과 복용 시 흡수율이 떨어지므로 공복에 복용해야 한다. 주로 신장을 통해 배설되므로 신장 기능이 떨어진 환자는 용량 감량이 필요하다. 4급 아민이므로 중추신경계를 통과하지 못해 인지장애 부작용은 없으나 입마름, 변비 부작용이 용량 의존적으로 나타나며, 시야 흐림, 안구건조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비유피정 ( 10mg, 20mg )

알트-변화

propiverine ( 프로피베린 )

 

1일 1회 10mg 1정을 복용한다. 하루 최대 40mg까지 복용할 수 있다.

 

 

 

 

 

항콜린성 약물부작용

시야 이상, 입마름, 빈맥, 변비, 소변 저류, 인지력 저하 

 

 

 

  복압성 요실금 절박성 요실금 범람성 요실금 기능성 요실금
특징 배에 힘이 들어가는 상황
( 기침, 운동 )

갑자기 소변보고 싶어짐 방광에 소변이 차서 넘침 비교기는 정상이나 
치매, 운동능력 장애
치료 SNRI ( 심발타 )
에스트로겐 질정, 크림
TCA ( 이미프라민 )
케겔운동
항콜린 ( 항무스카린 )
디트로판, 라이리넬, 디트루시톨, 토비애즈, 스파스몰리트, 베시케어

B3 효능제
베타미가
a1 차단제 근본적 원인을 치료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