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간 ( liver )12

담석증 ( cholelithiasis, gallstone ) 담석증이란 담즙의 구성성분이 응결, 침착되어 형성된 결정이다. 담석증을 분류하는 방법은 생기는 곳, 장소에 따라 분류하거나 담석의 성분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 담석이 생기는 부위, 장소 우리 몸에는 담즙과 연관된 곳이 간, 쓸개, 쓸개관 이렇게 3개가 존재하므로 담석이 생길 수 있는 곳도 이 3곳이다. 간에 생긴 담석은 간 내 담석, 쓸개에 생긴 담석은 담낭결석, 쓸개관에 생긴 담석은 총담관결석이라고 한다. 참고로 쓸개와 담은 같은 말이다. ( 쓸개=담 ) 담낭결석과 담석도 구분해서 사용해야 한다. ( 담낭결석 ≠ 담석 ) 담낭결석이 가장 흔하게 발생한다. 간 : 담즙을 생성하고 분비 담낭(=쓸개) : 담즙을 저장 담관(=쓸개관) : 담즙을 배출하는 관 간 내 담석 : 간에 생긴 담석 담낭결석 : .. 2023. 4. 2.
노르믹스정 복용법 ( 간성혼수, 설사, 과민성대장 ) ▶복용법 rifaximin 리팍시민 200mg 간성혼수환자에게 2알씩(400mg) 하루 3번 복용하며 보통 2주~3주 복용한다. 이때 lactulose(듀파락, 듀락칸)와 함께 사용한다. 이 약은 분쇄 해서는 안된다. 또한 이 약을 복용하면 소변이 붉게 나올 수 있다. 듀파락을 복용해도 조절되지 않는 간성혼수 환자에게 추가적으로 사용한다. 12세 이상에게만 사용한다. 설사환자는 1알씩(200mg) 하루 3번~하루 4번 복용하며 보통 일주일 복용한다. ▶작용기전 장내 세균 중에 urease(요소분해효소)를 분비하는 세균이 있다. urease는 요소를 분해하여 암모니아를 만든다. 암모니아가 증가하면 간성혼수가 생기게 된다. rifaximin은 이 세균의 활성을 저해하는 항생제로 암모니아 생성을 막아준다. r.. 2022. 12. 28.
[환자case] 이뇨제 유방통증, 여성형 유방 간부전 때문에 이뇨제를 복용 중인 남자 환자였는데, 이 약을 먹고 나서부터 가슴이 아프다고 했다. 환자와 얘기할 때 내가 적극적으로 질문을 해서 추가적인 정보를 많이 얻어야 한다. 심장 부위가 쪼이듯이 아픈 것인지, 아니면 타는듯한 통증인지, 유방 자체가 아픈 것인지 물었다. 유방 자체가 아프다고 하셨다. 먹는 약을 쭉 확인하니 역시나 알닥톤을 복용 중이다. 스피로노락톤(spironolactone 25mg) 성분으로 고혈압, 간부전, 심부전등 여러 질환에 사용되는 알닥톤정, 스피락톤정이다. 알도스테론 수용체를 길항하여 물의 재흡수를 억제하는 이뇨제다. 이 약을 복용하는 남성 환자의 10%가 여성형 유방을 겪는다고 한다. 스피로노락톤은 알도스테론 수용체뿐만 아니라 안드로겐 수용체에도 결합한다. 테스토스테론.. 2022. 11. 26.
식도정맥류 치료법 ▶ 혈관 수축제 : 글라이프레신, 테리 핀, 산도스타틴 혈관 수축제는 급성 정맥류의 출혈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한다. terlipressin(글라이프레신, 테라핀)은 vasopressin 유도체다. 혈관을 수축시켜 혈류량을 감소시키고 문맥압을 낮춰 출혈을 조절한다. 2mg을 4시간마다 정맥 투여하며 출혈이 조절되고 난 후에는 1mg으로 감량하여 4시간마다 투여한다. 치료기간은 2일에서 5일 정도 소요된다. 간신증후군에 효과적이며 부작용으로 심장 허혈이 나타날 수 있다. octreotide(산도스타틴)은 somatostatin 유도체다. 반감기가 길어 정맥주사뿐만 아니라 피하주사로도 투여가 가능하다. 혈관 확장작용을 하는 물질을 억제하여 간접적으로 혈관을 수축시킨다. 직접적으로 혈관을 수축하지 않기 때문에 .. 2022. 7. 27.
간경변 - 정맥류 ( Varix, varices ) ▶ 정맥류 간의 혈관구조를 살펴보면 간문맥을 통해 들어온 혈액이 간을 지나 간정맥을 통해 빠져나간다. 간경변이 진행되면 간섬유화, 재생 결절 등으로 인해 간의 구조가 뒤틀리게 되면서 혈액 흐름이 원활하지 못해 문맥압이 상승한다. 간문맥으로 들어온 혈액이 간정맥을 통해 빠져나가지 못하면서 압력차(HVPG)가 발생하게 된다. 높아진 문맥압을 극복하기 위해 혈관이 부풀어 오르고 뒤틀리는데 이것을 정맥류라고 한다. 정맥류는 위장관 어디서나 발생하나 위-식도에서 제일 많이 발생한다. ▶ 간정맥 압력차 ( HVPG, hepatic venous pressure gradient ) 간문맥과 정맥 사이의 압력차를 HVPG라고 한다. 정상적인 HVPG는 3-6 mmHg이며 5mmHg가 넘는 경우 문맥압 항진증이며, 8-1.. 2022. 7. 26.
간성혼수 치료 (간성뇌증) ▶ 단백질 섭취 제한 단백질을 과다하게 섭취하면 장내 세균에 의해 암모니아 형성이 증가한다. 간성뇌증 환자에게 단백질 섭취를 제한하는 것은 효과적이다. 하지만 장기간 과도하게 단백질 섭취를 제한하면 영양 불균형을 초래하고 근육을 감소시켜 오히려 간성혼수를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적절한 단백질 섭취가 중요하다. 하루 1.0g~1.5g/kg의 단백질 섭취가 권장된다. 만약 몸무게가 70kg이라면 하루 단백질 섭취량은 70g이다. 소고기 100g당 단백질 양이 20g 정도로 예상하는데, 하루 섭취할 수 있는 소고기 양은 350-400g 정도이다. 식물성 단백질은 위장관 운동을 빠르게 하고 장 내 pH를 감소시키므로 질소 평형을 잘 유지한다. 간성 혼수 증상이 급성으로 왔을 때는 단백질, 특히 육류를 제한하고 이.. 2022. 7. 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