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신장7

케렌디아 복용법 만성신장질환 환자들과 신장내과 의사들이 기다려온 새로운 신장약 '케렌디아'의 국내 처방이 시작되었다.  신장병은 계속 진행되기 때문에 초기에 발견하여 관리하여 투석 등 삶의 질을 관리하고,  질환이 진행됨으로 인한 사망을 최대한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기존의 ACE I, ARB와 다른 기전을 가지고 있으므로 우리가 가진 무기가 하나 더 생긴 셈이다.   ▶케렌디아 복용법① 사구체여과율(GFR)>60인 경우 20mg 1정 하루 1회 복용② 25 경우 10mg 1정 하루 1회 복용 케렌이다의 복용량은 사구체여과율에 따라 용량을 결정하며 칼륨 수치 또한 중요하다. 사구체여과율은 추정사구체여과율(eGFR)을 사용하며 사구체여과율이 25 이하인 경우에는 복용을 권장하지 않는다. 칼륨 수치도 4.8 이하인 경우에.. 2024. 6. 23.
고칼륨혈증 ( K+ ) 원인 혈청 칼륨의 농도 : 3.5 - 5.0 mEq/L 혈장 칼륨의 농도 : 3.0 - 4.8 mEq/L 칼륨 = 포타슘 = K+ 칼륨은 세포 내 주로 존재하는 양이온이다. 세포 밖에는 나트륨이 주로 존재하는 양이온이다. 칼륨은 주로 근육세포에 존재하며 간세포, 적혈구에도 존재한다. 근육의 움직임, 산 염기의 균형, 심전도, 세포 부피의 균형, 효소의 기능, 세포의 흥분, 세포의 성장 등에서 포타슘은 중요한 작용을 한다. 칼륨은 정상범위보다 높아도 문제가 되고, 정상범위보다 낮아도 문제가 된다. 정상적인 칼륨의 범주에서 조금만 벗어난 거라면 주기적인 모니터링으로 관찰해야 하며, 칼륨의 농도가 6.5보다 높아지면 즉각적인 대처가 필요하다. ▶ 고 칼륨 혈증의 원인 ① 칼륨 배설 감소 → 칼륨의 90%는 신장으로.. 2022. 11. 25.
FENa ( 나트륨 분획 배설율 ) 뇨지수 ( urine indices ) = 요 지표 급성신부전이 왔을 때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사용되는 중요 인자다. 소변의 삼투압, 나트륨 농도 등 여러 가지 인자가 있지만 이 중에서 FENa를 가장 많이 사용한다. FENa ( fractional excretion of sodium ) = 나트륨 분획 배설률 = 사구체에 여과된 나트륨의 몇 %가 소변으로 배설되었는가 FENa가 1%라고 가정해보자. 여과된 나트륨(소듐)이 100개가 있다면 거의 대부분 흡수되며 단 1개 혹은 0개의 나트륨만이 소변으로 배설된다. 이 FENa값을 이용하며 급성신부전의 원인을 파악한다. 신부전의 원인을 신장을 기준으로 신전성, 신성, 신후성으로 나눈다. 신장 이전에서 문제가 있는지, 신장에서 문제가 있는지, 신장 이후에서 .. 2022. 11. 6.
AKI ( 급성신장손상, 신부전 ), 신장 손상 단계 급성 신손상 ( AKI ) acute kidney injury : 신장 기능이 급격하게 손상되어 저하된다. 몇 시간에서 며칠에 걸쳐 급격하게 일어나며 질소 노폐물이 걸러지지 못하고 축적되면 질소 혈증(azotemia)을 일으키며, 체액 및 전해질에 이상이 생긴다. KDIGO에서는 다음 3가지 기준 중 하나 이상이면 급성 신손상으로 본다. ( KDIGO = kidney disease improving global outcomes ) SCr 은 혈청 크레아티닌을 뜻하며 피검사를 통해 알 수 있다. 정상적인 SCr 은 남성은 0.8-1.3mg/dL이며, 여성은 0.6-1.0 mg/dL이다. ( SCr의 기저치 ) ① SCr(혈청 크레아티닌)이 48시간 내 0.3 mg/dL 증가 ② SCr이 기저치(baseli.. 2022. 11. 5.
조영제 신장독성 예방 ( n-아세틸 시스테인 ) 조영제란 MRI나 CT 등으로 촬영할 때 해당 부위가 다른 곳과 대비되어 잘 보이도록 해주는 약품이다. X-ray(엑스레이), CT 촬영에는 요오드화 조영제와 바륨 조영제를 사용하고, MRI 촬영에는 가돌리늄 조영제를 사용한다. 그러나 심한 알레르기 반응이 발생할 수도 있고, 신장에 독성을 일으킬 수도 있다. ⊙ 조영제가 신장에 독성을 일으키는 기전 ① 신장혈관이 수축하면서 허혈성 손상을 일으킨다. ② 원위 세뇨관에 침착되어 침전물을 형성한다. ③ 산화스트레스를 일으켜 손상시킨다. ④ 삼투압 증가로 조직을 손상시키며 또한, 직접 세포를 손상시킨다. 특히, 당뇨환자나 고령환자, 신장기능이 떨어진 환자, 만성질환자에게 신장독성이 나타날 확률이 높다. 또한 조영제 양이 과다하게 많았거나, 72시간 이내 반복해.. 2022. 11. 1.
CLcr ( creatinine clearance ), eGFR 계산방법 신장에 대해 다룰 때 빠질 수 없는 creatinine (크레아티닌)에 대해 알아보겠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많은 분들이 착각하는데, 크레아틴 ≠ 크레아티닌이다. 두 가지는 엄연히 다른 물질이다. 크레아틴 : 특히 근육에 많으며, 에너지를 생성하는 아미노산 유사물질이다. 크레아티닌 : 크레아틴이 대사 되어 생성되는 물질이다. ⊙ 크레아티닌은 대부분 신장에서 배설되므로 신장기능을 평가하는 데 중요하다. 정상 혈청 크레아티닌 ( 남자 ) : 0.8 - 1.3 mg/dL 정상 혈청 크레아티닌 ( 여자 ) : 0.6 - 1.0 mg/dL 크레아티닌은 근육량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근육량이 많은 사람은 크레아티닌 수치가 높게 나올 수 있다. 또한 임신 중인 경우 크레아티닌이 낮게 나올 수 있다. 검사하는 시간에.. 2022. 10. 3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