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약 사용법/여성건강18 카버락틴 복용법 ( 젖 끊는 약, 뇌하수체, 고프로락틴, 시험관 ) ▶ 젖 끊는 목적이미 수유를 하고 있는 여성이 수유를 중단하기 위한 목적으로 처방할 때는, 0.25mg을 하루 2번 이틀동안 복용한다. 만약, 수유를 할 생각이 없고 애초에 유즙이 생산되지 않게 하고 싶다면산후 첫날 1mg을 1회 복용한다. ▶ 뇌하수체 종양, 고프로락틴혈증뇌하수체는 여러 호르몬을 분비한다. 프로락틴, 성장호르몬, TSH(갑상선 자극 호르몬), ACTH (부신피질 자극 호르몬), FSH(난포 자극 호르몬), LH(황체 형성 호르몬), ADH(항이뇨 호르몬) 등이 있다. 뇌하수체에 종양이 생기면 각종 호르몬의 농도가 증가할 수 있다. 이 중에서 프로락틴의 농도가 증가하는 상태를 고프로락틴혈증이라고 하며, 프로락틴종이라고 한다. 뇌하수체 종양 중에 프로락틴종이 가장 흔하다. 약 30%정.. 2024. 8. 3. 가스토텍 , 싸이토텍 사용법, 질정? 복용? ( 계류유산, 자궁검사 ) 가스토텍정은 예전에는 위장약으로 사용했습니다. 사실 요즘도 50대 약사님들과 얘기해 보면 위장약으로 많이 얘기하시는데, 요즘은 위장약으로 사용하지 않습니다. 요즘은 산부인과에서 사용하고 있는데,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지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 자궁 내시경 전 자궁수축제: 자궁 내시경은 보통 생리 직후에 실시합니다. 생리 직후에 자궁이 깨끗해져서 내부를 확인하기 좋습니다. 병원에서 아마도 위의 사진처럼 가스토텍 2정을 받아오실 겁니다. 검사 전날 밤에 사용하게 됩니다. 생리 첫날 병원에 전화를 하시면, 병원에서는 생리 예상 종료일 2~3일 내로 예약을 잡아주게 됩니다. 그 예약날짜 전날 밤에 이 가스토텍 2정을 복용하시면 됩니다. 보통은 밤 10시~ 12시 사이에 드십니다. 그리고 약을 복용하고 .. 2024. 7. 21. 아스피린과 유산 방지 저용량 아스피린 100mg는 혈전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산부인과에서 종종 처방이 나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은 유산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중요한 것은 저용량 100mg을 1일 1회 복용하는 것이다. 아스피린은 해열, 소염, 진통 작용이 있다. 매일매일 저용량 아스피린을 복용하면 염증을 가라앉히고 혈액을 희석시켜 태반으로 혈액 공급을 증가한다. 혈액 공급이 증가하면 아기에게도 산소와 영양분 공급이 증가한다. 또한 아스피린은 혈전을 방지하는데 자궁내벽 혈관 속에 피가 응고되는 것을 방지하고 여러 가지 면역학적 요인을 없애 유산을 방지한다. 임신하기 전에 아스피린을 복용하는 것도 효과가 있으나, 이는 의사가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경우에 처방받아 복용해야 한다. 과량으로 복용하는 경우 태아에게 부작용이 생길 수.. 2023. 1. 2. 모유 수유 중 진통제? 해열제? 환자에게 흔히 질문을 받는 것 중의 하나 인 수유 중 먹어도 되는지 궁금한 약에 대해 써보려고 한다. 모유 수유를 하고 있는데 진통제를 먹어도 되는지, 먹어도 된다면 어떤 진통제를 먹으면 되는지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실 것 같다. 보통 임신 중일 때 타이레놀은 먹어도 된다는 사실은 흔히 알려진 사실이다. 그래서 막연하게 출산 후 수유 중일 때 타이레놀도 안전하다고 생각하시는 것 같다. 하지만 모유 수유 중에 먹어도 되는 해열진통제는 이부프로펜이 가장 안전하다. ▶이부프로펜 : 모유로 이행이 거의 되지 않는다. 우리가 아는 부루펜, 이지엔, 애드빌 등으로 흔히 알려져 있다. 같은 맥락으로 덱시부프로펜도 안전하다. 이부프로펜은 거울형 이성질체다. 똑같은 분자구조를 가졌으나, 거울을 마주 본 형태로 대칭적이며 .. 2022. 11. 20. 요실금 , 내가 혹시 ? ( 요실금 종류와 원인 ) 요실금이란 자신이 원하지 않았지만 소변이 나와버리는 증상으로 배뇨에 대한 통제를 잃은 것을 뜻한다. 크게 4가지로 나눌 수 있으며 분류에 따라 치료가 달라지므로 정확한 진단이 중요하다. 복압성 요실금, 절박성 요실금, 범람성 요실금, 기능성 요실금 이렇게 4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① 복압성 요실금 ( stress urinary incontinence ) 여성의 요실금 중에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요실금이다. 기침, 운동 등 일반적인 생활 중 배에 힘이 들어가는 상황에서 소변이 흘러나오는 질환이다. 임신, 출산 등을 겪으면서 골반과 요도의 근육이 약화되며 특히 폐경기 즈음 가장 많이 발생하나 어느 연령대에서든 발생할 수 있다. 남성에서도 전립선 수술을 받은 후 복압성 요실금이 발생할 수 있다. ② 절박성.. 2022. 7. 3. 유방암, 그리고 방사선치료 유방암에서 가장 확실한 방법은 암을 절제하는 겁니다. 목표는 최대한 암 덩어리를 제거하는 것입니다. 유방 전체를 제거하는 전절제 수술과 유방을 보존하기 위한 유방보존 수술로 나눌 수 있습니다. 유방보존 수술을 하고 난 후 암의 재발을 막기 위해 방사선 치료를 반드시 5주~6주 동안 실시합니다. 전절제술을 받았더라도 유방암의 크기가 5cm 이상 컸거나 그 외에도 의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방사선 치료를 실시합니다. ▶방사선 치료란? 몸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방사선을 이용해 진단하기도 합니다만, 방사선 치료는 매우 강한 방사선을 사용합니다. 암세포를 선택적으로 파괴하며 수술 후 남아있을지 모를 암세포를 제거하기 위해 실시합니다. 그리고 전이가 많이 된 경우에도 통증을 완화시키기 위해 실시하기도 합니다.. 2022. 7. 1.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