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쪽이는 엄마의 약손이 필요해/금쪽이 연령별 시리즈

태아 금쪽이 태교, 음주

by drug prince(약 사용법) 2022. 3. 30.
반응형

 

 

!

오늘 포스팅할 주제는 임신 중에 알아 두어야 할 내용입니다.

상식과도 같은 수준의 얘기들이라 이렇게 포스팅하는 게 민망스럽구려

하지만 저는 뻔뻔하게 달릴 겁니다!

레고~레고!!!

(let’s go)


<1>

질문

산모 뱃속에서 태교가 금쪽이가 자라는데 중요하다는 것은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요.

도대체 어떤 태교가 제일 좋을지 도무지 무엇을 택해서 해줘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좋다고 하는 태교는 다 해줘도 되는 건가요? 혹시 하면 안 되는 태교라도 있을까요?

 

답변

꽤나 잘 못 알려진 내용 중 하나가 태교에 대한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사실, 금쪽이가 뱃속에 있을 때, 엄마의 말이나 아빠의 말을 듣고, 엄마의 기분 상태를 아이도 간접적으로 느낀다는 사실은 너무도 명확합니다만, 태교 자체가 과학적으로 입증된 바는 없는 게 사실입니다. 금쪽이 엄마는 평상시와 다름없는 생활을 하시면서 고된 일을 삼가시고 산모 본인이 행복함을 많이 느끼실 수 있다면 그것 이상의 태교는 없으리라 생각합니다.

 

-특별한 태교법을 사용해야 아가를 더 훌륭하게 키울 수 있다고 명확히 입증된 것은 없습니다. 남들보다 더 좋은 태교를 하지 못한다고 아가에게 미안해할 필요가 없습니다. 태아들에게 엄마가 보통의 일상을 살아가는 환경이 더 좋을 수 있습니다.
-가장 좋은 태교는 엄마가 행복하게 일상을 사는 것일 겁니다. 음식 골고루 먹고 자기가 좋아하는 음악을 듣고 좋아하는 책을 보고 부부간에 행복하게 지내는 것, 그것이 제일 바람직한 태교일 것입니다. 특정한 음악을 듣는다고 아가가 더 훌륭한 사람이 된다고 저는 생각하지 않습니다. 다만 심리적으로나 육체적으로나 너무 극한 상황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 삐뽀삐뽀 119 소아과 -

 

<2>

질문

먹고 싶은 것도 함부로 먹으면 안 될 것 같은데, 제가 을 아주 조금씩 하는 사람입니다.

술은 임신기간 동안 입에도 대면 안될까요?

 

답변

은 명명백백히 금쪽이의 뇌 성장에 영향을 준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과학적으로 말이죠.

금쪽 이를 잉태하셨다면, 출산 후에 드셔야 한다고 말씀드릴 수 있겠습니다. 또한 술 얘기가 나와서 말씀드리는데, 술안주로 날 것을 드시는 것도 딱히 권할 사항은 아니니 유의해주세요. 생선회 같은 경우에 수은이 포함되어 있으며, 기생충의 문제에서 벗어나기가 어렵기도 해서입니다.

 

-음식은 우유, 계란, 고기를 포함해서 식품군별로 골고루 먹는 것이 제일 좋은데 우유는 무지방 우유로 두 컵 정도 매일 먹는 것이 좋고 현미 잡곡은 50% 이상 섞어 먹는 것이 좋습니다. 과일, 채소도 많이 먹는 것이 좋습니다. 일주일에 90~180g 정도의 해산물을 먹는 것이 좋은데, 수은 함량이 적은 생선으로 먹는 것이 중요합니다. 참치 같은 것은 피하는 것이 좋고 연어는 수은이 적습니다. 생선회 먹는 것은 권장하지 않습니다.
-적당한 정도의 커피는 상관이 없습니다.
-술은 한 잔을 먹어도 태아의 두뇌 발달에 문제가 될 수도 있다고 알려지고 있으므로 술은 안 됩니다. 약용 식물들은 섭취를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 삐뽀삐뽀 119 소아과 -

<이 글을 보면서 항상 염두해야 할 점>

'약녕대군'의 실체 의사가 아닙니다. 일개, 의대생일 뿐입니다.

(다른 카테고리인 '약'에 관해서는 약사로서 쓰고 있습니다. 참고하세요. ^^)

 

'약녕대군'에서의 글은 '일반적인 상황' 설명만 할 뿐, 실제 금쪽이가 겪고 있는 '특수한 상황'에는 적용이 되지 않을 수 있음을 상기해야 합니다.  금쪽이가 '특수한 상황'이라고 생각되면, 즉시, 소아과 의사 선생님께 상담을 받아야 합니다.

 

학습자료 + Pacific Books KMLE(2021년) + 홍창의 소아과학(개정 12판) + 삐뽀삐뽀 119 소아과(2022년 최신 개정판)

 참고해서 쓰는 글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