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분 섭취 제한
소듐(Na+, 나트륨)은 복수 생성에 있어 중요한 원인이다. 저염식이는 복수 환자에게 필요하다. 하루 염분 섭취량을 5g 이하로 제한하며 이것은 소듐으로서 2g 이하를 뜻한다. 저염식이만으로 복수가 조절되는 경우는 드물며 환자가 너무 힘들어하는 경우 적당량의 염분 섭취를 허락하고 이뇨제와 함께 조절한다.
▶ 수분 섭취 제한
체내 수분 또한 복수 생성에 있어 중요한 원인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복수 환자에게 수분 제한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수분 섭취량은 하루 1L~1.5L로 제한하나 그 효과가 증명되지는 않았다. 수분의 배출은 소듐 배설에 의해 함께 조절되는 것이므로 수분 제한이 필수적이진 않다. 수분 섭취보다는 염분 섭취 제한이 더 중요하다.
▶ 이뇨제
간경변증 복수 환자는 저염식이만으로는 복수가 조절되지 않는 경우가 훨씬 많다. 이뇨제는 주사보다는 경구복용이 우선적이다. 주사로 정맥 투여한 경우 급격한 체액 감소로 신장에 무리를 줄 수 있다. 중등도 이상의 복수가 있는 경우 저염식이와 이뇨제를 함께 사용한다. 알닥톤(spironolactone)이 가장 기본으로 사용되며 알닥톤으로 조절되지 않는 경우 알닥톤과 라식스(furosemide)를 함께 사용한다. 이뇨제에 대한 치료반응은 체중으로 평가한다. 간경변 복수 환자는 체중을 매일 측정해야 한다. 체중감량은 말초부종이 있는 경우 하루 1kg, 말초부종이 없는 경우 하루 0.5kg을 넘기지 말아야 한다. 체중을 급격하게 감량하면 탈수, 혈액량 감소, 저혈압, 전해질 불균형을 유발하며 간성혼수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적절히 조절해야 한다. 복수가 조절되고 나서는 이뇨제를 최소용량으로 사용한다.

간경변증 복수 환자는 알도스테론이 증가한다. 고 알도스테론 혈증은 신장에서 수분과 소듐을 재흡수하고 저 칼륨 혈증을 유발한다. 알닥톤은 알도스테론을 차단하여 소듐과 수분을 배설시키고 칼륨을 보존한다. 알닥톤은 반감기가 길고 약효가 발현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며 안정적인 혈중농도에 도달하는 데까지 3~4일 정도 소요된다. 알닥톤은 50-100mg(하루 2정-4정)으로 시작하여 일주일 간격으로 서서히 용량을 증량하며 최대 400mg(하루 16정)까지 증량한다.

라식스는 루프 이뇨제로 신장 루프에서 Na-K-Cl 수송을 차단한다. 이뇨 효과는 혈액보다는 신장 세뇨관 내 농도가 중요하므로 신혈류가 감소된 환자에게는 이뇨 효과가 떨어진다. 간경변증 환자에게는 라식스를 단독으로 사용하지 않는다. 라식스를 사용하여 소듐 재흡수를 차단하더라도 증가한 알도스테론에 의해 결국 신장 말단에서 재흡수된다. 따라서 라식스를 단독으로 사용하지 않고 알도스테론을 감소시키는 알닥톤과 함께 사용한다. 라식스는 알닥톤보다 효과가 빠르며 라식스로 인한 저 칼륨 혈증은 알닥톤을 함께 사용하여 예방할 수 있다. 라식스는 20-40mg (하루 0.5정-1정)에서 시작하여 최대 160mg(하루 4정)까지 증량할 수 있다. 알닥톤과 라식스는 100:40의 비중으로 사용한다. 예를 들어 알닥톤 4알과 라식스 1알을 함께 사용한다.

세토람정, 토렘정은 라식스에 비해 작용시간이 긴 루프 이뇨제다. 1일 1회로 사용하며 라식스의 1/4 용량으로 사용한다. 또한 칼륨 손실이 적은 편이라 저 칼륨 혈증으로 인한 간성뇌증을 최소화한다. 복수 치료에 사용하는 평균 용량은 5mg-40mg이다.
▶ 복수 천자
복수가 심한 환자에게 복수를 빨리 제거하기 위해 복수 천자를 시행한다. 복수 천자는 주삿바늘로 대량의 복수( 4L-6L )를 한 번에 빼내는 방법이다. 복수를 빼낼 때 복수 1L마다 알부민 8-10g으로 주입한다. 복수만 빼내면 유효 혈액량이 감소하여 순환장애가 발생해 복수가 재발할 수 있다. 알부민은 이것을 예방하기 위한 혈장 증량 제다. 알부민은 반감기가 길기 때문에 효과가 오래 지속되는 혈장 증량 제다.

▶ NSAID 중단
NSAID는 부종을 유발한다. 따라서 간경변 복수 환자가 복용 중인 약물을 확인하고 NSAID(소염진통제)를 중단해야 한다.
'간 ( liver )'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경변 - 정맥류 ( Varix, varices ) (1) | 2022.07.26 |
---|---|
간성혼수 치료 (간성뇌증) (0) | 2022.07.21 |
간경변 - 간성뇌증 ( HE ) (0) | 2022.07.19 |
간경변 - 복수 ( ascites ) (0) | 2022.07.17 |
child-pugh, MELD ( 간경변증 분류법 ) (1) | 2022.07.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