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쪽이는 엄마의 약손이 필요해/금쪽이 연령별 시리즈

신생아 금쪽이 (모유, 분유)수유

by drug prince(약 사용법) 2022. 4. 8.
반응형

! 그럼 ‘신생아에 대한 모든 것들 6 번째 포스팅 시작합니다.

(이번 시간도 '질문, 답변'의 형식의 포스팅이 아닙니다.)

 

모유수유 및 분유수유에 대한 이야기

 

모유수유

어쩔 수 없는 겨우는 제외하고 모유가 아이에게 제일 좋다는 것은 앞선 포스팅에서 밝혔습니다. 이 모유를 두 돌까지 먹이는 게 기본이라고 합니다. 모유수유를 할 때, 가장 큰 요령은 금쪽이가 태어난 후 첫 수일간 젖만 물리는 것입니다. 처음 2~3일 동안은 모유가 잘 안 나오기도 합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금쪽이 신생아들은 이렇게 적게 먹고도 충분합니다. 이렇게 열심히 젖을 물려야 나중에 모유수유에 성공할 수 있습니다. 금쪽이 생후 2~4일쯤이면 모유가 잘 나오게 된다고 합니다. 만약 젖이 잘 나오지 않는 다면, 소아청소년과 의사 선생님께 진료를 받으셔야 합니다. 여기서 또 언급을 하고픈 것이 '24시간 모자동실'입니다. 하루에 3~4시간 정도일 뿐이더라도 금쪽 이를 신생아실에 맡긴다면 제대로 된 모유수유가 힘들어진다고 합니다.

 

울 때 먹이는 것은 이미 늦은 겁니다. 금쪽이가 배고파서 먹고 싶어 하면 바로 먹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신생아 시기에는 먹는 시간이 따로 없습니다.(의식적으로 낮에 먹이려고는 하셔야 합니다.)

 

젖을 짜서 먹이면 안 됩니다. 젖을 짜서 먹이면 모유도 잘 나오지 않을뿐더러, 나중에 아기가 직접 젖을 물지 않아서 고생을 할 수 있습니다.

 

하루에 8~12번, 한 번에 15분 이상 먹이고 한 번 수유할 때, 양쪽을 다 물리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밤일지라도 금쪽이가 4시간 이상 잔다면 깨워서 먹여야 합니다.

 

젖은 깊숙이 물려야 한다고 합니다. 아프시다면 젖을 잘못 물린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자세를 교정받으셔야 합니다.

 

첫 6개월은 모유만으로도 충분합니다. 물이나 주스도 거의 필요 없습니다. 또 모유를 먹이는 금쪽이 들의 변은 원래 묽습니다. (수유 시, 처음 부분의 모유가 당분이 많아, 변이 묽게 나올 수 있음을 앞선 포스팅에서 말씀드렸습니다.)

 

모유수유하는 금쪽이 엄마는 먹는 것에 신경을 쓰셔야 합니다. 섭취하는 것이 경우에 따라 모유에 포함이 되기 때문입니다. 그렇기에 모유수유 중에 엄마가 한약을 먹는 것은 권장하지 않고 있으며, 엽산이 포함된 멀티비타민은 하나 정도 먹는 것이 좋다고 하며, 오메가 3 보충을 위해 일주일에 180g의 생선을 먹는 게 권장된다고 합니다.

 

 

 

 

분유수유

모유가 잘 나오지 않거나 부족한 경우 분유를 먹여야 합니다. 분유는 소젖으로 만든 분유가 제일 좋습니다.

분유를 바꾸고 싶으실 때는 바로 바꾸셔도 됩니다. 참고로 더 좋은 분유라는 것은 없다고 생각하십시오.

 

분유를 대신해서 곡식을 갈아서 먹이거나 두유나 산양유를 모유, 분유 대신 먹이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분유는 모유와 달리 소화가 잘 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모유는 8~12회 먹였습니다만, 분유는 하루에 6~8회 정도를 먹이게 됩니다. 물론, 금쪽이가 배고파하면 먹고 싶어 하는 만큼 먹이는 것이 좋습니다.

 

일반적으로 분유는 끓였다 식힌 70도 이상의 뜨거운 맹물에 타고, 체온 정도로 식혀서 먹이는 것이 권장됩니다.

 

신생아의 모유수유
-모유가 아기에게 제일 좋은 음식입니다. 두 돌까지 먹이는 게 기본입니다.
-엄마와 아기가 하루 종일 24시간 한밤에도 한 방에 같이 있어야 모유수유를 제대로 할 수 있습니다. 하루에 불과 서너 시간만 아기를 신생아실에 맡겨도 제대로 된 모유수유가 힘들어집니다.
-첫 수일간 모유만 물리는 것이 모유수유 성공의 핵심입니다. 첫 2~3일간은 모유가 잘 나오지 않지만 대부분의 아기들은 이렇게 적게 먹고도 충분합니다. 하지만 열심히 물려야 나중에 모유수유에 성공할 수 있습니다. 안 나온다고 굶기거나 함부로 분유를 주지 마십시오.
-아기가 배고파서 먹고 싶어 하면 바로 먹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시간을 맞춰서 먹이지 마십시오. 울 때 먹이면 늦은 겁니다.
-젖을 짜서 먹이지 말고 직접 물리세요. 짜서 먹이면 모유도 잘 나오지 않게 되고 나중에 아기가 직접 젖을 물지 않아서 엄청나게 고생할 수 있답니다.
-첫 수유는 출산 30분~1시간 내에 시작하고, 하루에 8~12회, 한 번에 15분 이상 먹이고 한 번 수유할 때 양쪽을 다 물리는 것이 좋습니다. 밤에도 4시간 이상 자면 깨워서 먹입니다.
-젖은 깊숙이 물려야 하며 젖이 아픈 경우 젖을 잘못 물린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수유 자세를 교정받아야 합니다.
-첫 6개월은 모유만으로도 충분합니다. 물도 주스도 더 먹일 필요는 없습니다.
-모유 먹이는 아기의 변은 원래 묽게 나옵니다. 물젖이란 것은 없습니다.
-생후 2~4일쯤 되면 모유가 잘 나오게 됩니다. 이때까지 젖이 잘 나오지 않는 경우는 소아과 의사의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모유수유 중에 엄마가 한약을 먹는 것을 저는 권장하지 않습니다.
-모유수유하는 엄마는 엽산이 포함된 멀티비타민 하나 정도는 먹는 것이 좋고, 오메가 3 등을 보충하기 위해 일주일에 180g 정도의 생선을 먹이는 것이 좋습니다.
-젖이 부족한 경우 소아청소년과 의사와 젖 늘리는 방법에 대해서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황달이 있어도 젖을 끊을 필요는 없습니다. 1~2일 정도 일시적으로 중단하더라도 다시 수유를 하게 되므로 젖을 짜고 컵으로 먹이면서 중단해야 합니다.
 
신생아의 분유수유
-모유가 잘 나오지 않거나 부족한 경우 분유를 먹여야 합니다.
-분유는 소젖으로 만든 분유가 제일 좋습니다.
-분유를 함부로 바꾸지 마십시오. 훨씬 더 좋은 분유란 없습니다. 분유를 바꿀 때는 바로 바꾸어도 됩니다.
-특수분유는 소아청소년과 의사의 처방에 의해서만 먹이세요.
-분유 대신 곡식을 갈아서 먹이거나 콩분유나 두유나 산양유 같은 것을 모유나 분유 대신 먹이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분유는 모유에 비해서 소화가 잘 되지 않기 때문에 하루에 6~8회 정도 먹게 됩니다. 배고파하면 먹이고 아기가 먹고 싶어 하는 만큼 먹이는 것이 좋습니다.
-일반적으로 분유는 끓였다 식힌 70도 이상의 뜨거운 맹물에 타고, 체온 정도로 식혀서 먹이는 것이 권장됩니다.
-분유를 탈 때는 반드시 손을 씻으십시오. 우유병은 잘 소독하여 사용하십시오.
-먹다가 남긴 분유는 나중에 다시 먹이지 마십시오.
                                                                                                               - 삐뽀삐뽀 119 소아과 -

<이 글을 보면서 항상 염두해야 할 점>

미리 밝힙니다. '약녕대군'의 실체의사가 아닙니다. 개인의 학습과 금쪽이의 엄마들께 작은 도움이라도 될까 하여 글을 쓴다는 점을 알아주세요.

 

'약녕대군'에서의 글은 '일반적인 상황' 설명만 할 뿐, 실제 금쪽이가 겪고 있는 '특수한 상황'에는 적용이 되지 않을 수 있음을 상기해야 합니다. 이 카테고리에서 보시게 될 글은 어디까지나 소아과 의사 선생님에게 들었어야 할 설명을 듣지 못하였을 때 찾아보는 용도로 써야 합니다. 금쪽이가 '특수한 상황'이라고 생각되면, 즉시, 소아과 의사 선생님께 상담을 받아야 합니다.

 

의학은 같은 질병도, 정말 빠른 시간 내에 '정의' '질병 대처에 대한 가이드라인' 등등이 바뀝니다. 소아과에서 다루는 육아와 질병도 마찬가지입니다. 혹시 첫째를 낳고 나서 산 책을 계속 보고 계시거나, 초보 엄마인데, 육아와 관련한 중고서적을 사려고 하신다면, 그렇게 하시기보다는 '하정훈 원장님'의 '삐뽀삐뽀 119 소아과'책을 최신 개정판으로 공부하시라는 말씀을 드리고 싶고, 약녕대군의 '금쪽이는 엄마의 약손이 필요해'에 쓰인 글로 갈음해주셔도 좋다고 생각합니다.

 

학습자료 + Pacific Books KMLE(2021년) + 홍창의 소아과학(개정 12판) + 삐뽀삐뽀 119 소아과(2022년 최신 개정판)

참고해서 쓰는 글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