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이뇨제3

[환자case] 이뇨제 유방통증, 여성형 유방 간부전 때문에 이뇨제를 복용 중인 남자 환자였는데, 이 약을 먹고 나서부터 가슴이 아프다고 했다. 환자와 얘기할 때 내가 적극적으로 질문을 해서 추가적인 정보를 많이 얻어야 한다. 심장 부위가 쪼이듯이 아픈 것인지, 아니면 타는듯한 통증인지, 유방 자체가 아픈 것인지 물었다. 유방 자체가 아프다고 하셨다. 먹는 약을 쭉 확인하니 역시나 알닥톤을 복용 중이다. 스피로노락톤(spironolactone 25mg) 성분으로 고혈압, 간부전, 심부전등 여러 질환에 사용되는 알닥톤정, 스피락톤정이다. 알도스테론 수용체를 길항하여 물의 재흡수를 억제하는 이뇨제다. 이 약을 복용하는 남성 환자의 10%가 여성형 유방을 겪는다고 한다. 스피로노락톤은 알도스테론 수용체뿐만 아니라 안드로겐 수용체에도 결합한다. 테스토스테론.. 2022. 11. 26.
복수 치료법 ( 간경변 ) ▶염분 섭취 제한 소듐(Na+, 나트륨)은 복수 생성에 있어 중요한 원인이다. 저염식이는 복수 환자에게 필요하다. 하루 염분 섭취량을 5g 이하로 제한하며 이것은 소듐으로서 2g 이하를 뜻한다. 저염식이만으로 복수가 조절되는 경우는 드물며 환자가 너무 힘들어하는 경우 적당량의 염분 섭취를 허락하고 이뇨제와 함께 조절한다. ▶ 수분 섭취 제한 체내 수분 또한 복수 생성에 있어 중요한 원인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복수 환자에게 수분 제한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수분 섭취량은 하루 1L~1.5L로 제한하나 그 효과가 증명되지는 않았다. 수분의 배출은 소듐 배설에 의해 함께 조절되는 것이므로 수분 제한이 필수적이진 않다. 수분 섭취보다는 염분 섭취 제한이 더 중요하다. ▶ 이뇨제 간경변증 복수 환자는 저염.. 2022. 7. 20.
[환자case] 면역억제제 + 이뇨제 근무 중 기억에 남는 case ∨ 아드바그랍 5mg 복용 중인 신장 이식 환자 ( 신장내과 ) (= 타크로벨, 프로그랍, 타크로민, 타크로인 등) 성분 : tacrolimus ( 타크로리무스 ) 면역억제제 ∨ 가슴통증, 숨이 차는 증상 호소하며 병원 방문 후 알닥톤 처방 ( 순환기내과 ) (= 스피락톤, 스피로닥톤 등 ) 성분 : spironolactone ( 스피로노락톤 ) 이뇨제 → 병용금기사항 : 고칼륨혈증( K+ ) 발생할 가능성이 높음 ∨ 특히, 신장이식 중인 상태이며 신기능이 정상으로 보기 힘들고 또한 신기능이 급성으로 악화될 위험인자를 소지하고 있는 상태 ∨ 정상 칼륨 범위 : 3.5~5.5 mmol/L ∨ 칼륨 수치가 증가하면 급성 신장 손상, 부정맥, 심장마비 등을 일으키는 아주 위험한 .. 2022. 3. 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