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수유3

카버락틴 복용법 ( 젖 끊는 약, 뇌하수체, 고프로락틴, 시험관 ) ▶ 젖 끊는 목적이미 수유를 하고 있는 여성이 수유를 중단하기 위한 목적으로 처방할 때는, 0.25mg을 하루 2번 이틀동안 복용한다. 만약, 수유를 할 생각이 없고 애초에 유즙이 생산되지 않게 하고 싶다면산후 첫날 1mg을 1회 복용한다.   ▶ 뇌하수체 종양, 고프로락틴혈증뇌하수체는 여러 호르몬을 분비한다. 프로락틴, 성장호르몬, TSH(갑상선 자극 호르몬), ACTH (부신피질 자극 호르몬), FSH(난포 자극 호르몬), LH(황체 형성 호르몬), ADH(항이뇨 호르몬)  등이 있다. 뇌하수체에 종양이 생기면 각종 호르몬의 농도가 증가할 수 있다. 이 중에서 프로락틴의 농도가 증가하는 상태를 고프로락틴혈증이라고 하며, 프로락틴종이라고 한다. 뇌하수체 종양 중에 프로락틴종이 가장 흔하다. 약 30%정.. 2024. 8. 3.
모유 수유 중 진통제? 해열제? 환자에게 흔히 질문을 받는 것 중의 하나 인 수유 중 먹어도 되는지 궁금한 약에 대해 써보려고 한다. 모유 수유를 하고 있는데 진통제를 먹어도 되는지, 먹어도 된다면 어떤 진통제를 먹으면 되는지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실 것 같다. 보통 임신 중일 때 타이레놀은 먹어도 된다는 사실은 흔히 알려진 사실이다. 그래서 막연하게 출산 후 수유 중일 때 타이레놀도 안전하다고 생각하시는 것 같다. 하지만 모유 수유 중에 먹어도 되는 해열진통제는 이부프로펜이 가장 안전하다. ▶이부프로펜 : 모유로 이행이 거의 되지 않는다. 우리가 아는 부루펜, 이지엔, 애드빌 등으로 흔히 알려져 있다. 같은 맥락으로 덱시부프로펜도 안전하다. 이부프로펜은 거울형 이성질체다. 똑같은 분자구조를 가졌으나, 거울을 마주 본 형태로 대칭적이며 .. 2022. 11. 20.
신생아 금쪽이 모유수유, 분유수유 자! 그럼 ‘신생아에 대한 모든 것들’ 5 번째 포스팅 시작합니다. (이번 시간에는 '질문, 답변'의 형식으로 포스팅하지 않고 주욱 설명을 드려볼까 합니다.) 수유에 관한 이야기. 금쪽이 엄마, 아빠께서도 아실 테지만, 모유가 최고입니다. 모유를 어쩔 수 없이 먹이기 힘든 상황이거나, 모유양이 절대적으로 작은 상황이라면 소젖으로 만든 분유를 먹이시면 됩니다. 두유나 산양유는 권장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신생아 금쪽이는 20시간가량을 수면상태로 지냅니다. 그렇기 때문에 수유를 할 시, 시간을 맞추지 말고 양도 정하지 말고 아기가 배고파할 때 마음껏 먹이시면 됩니다. 배고픈 금쪽이는 보채기도 하고 손을 입에 넣고 빠는 모습을 보인다고 합니다. 이럴 시, 바로 수유를 해야 합니다. 금쪽이가 울기전에 먹이는 것이.. 2022. 4.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