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변비약의 원리, 1탄 ( 팽창, 삼투, 자극, 연화, 염류 )

by drug prince(약 사용법) 2024. 8. 24.
반응형

알트-변환
변비 - 구글이미지 -

 

▶ 팽창성 하제 ( bulk producers )

  12세이상 ( 하루용량 ) 6세-11세 ( 하루용량 )
polycarbophil 1 ~ 4 g 의사지시대로
pysllium  차전자 2g ~ 30 g 의사지시대로
methlycellulose 0.5 ~ 6 g 0.5 ~ 1.5 g ( 심한경우 3g )

 

:  물과 결합력이 높은 고분자 중합체다. 중합체같은 종류의 분자가 반복적으로 결합해서 큰 형태가 된 것을 말한다. 

대장 내에서 이 고분자 중합체가 수분과 결합하고 그로 인해 변이 팽창한다. 또한 대변 연동 운동을 촉진해서 변이 제거된다. 

충분한 물 (250ml)과 함께 복용해야 한다. 수분이 없는 상태에서 복용하면 충분한 효과를 보지 못할뿐더러 식도폐쇄, 대장폐쇄 등을 일으킬 수 있다. 단점은 고창(가스)이 발생하고 복부 경련을 일으켜 배가 아플 수 있다. 드물지만 과민반응이 발생할 수 있다. 

임신 중에 사용될 수 있는 변비약이다.  


▶ 삼투성 하제 ( hyperosmotics )

  12세이상 ( 하루용량 ) 6세-11세 ( 하루용량 )
락툴로오스 15 - 60 ml 7.5 ml
소르비톨 30 - 150 ml  체중 당 2 ml

 

: 삼투압의 차이로 인해서 물이 대장 안으로 유입된다. 노인에게 적합한 변비약이다. 

락툴로오스는 장 내 산성화도 일으키므로 간질환자의 암모니아 제거에도 사용한다. 듀파락시럽으로 알려져 있다. 

소르비톨은 '당'이므로 당뇨환자에게 조심해야 한다. 


▶ 자극성 하제 ( stimulant laxatives )

: 장 평활근의 신경에만 선택적으로 작용해서 장 운동을 일으킨다. 

6시간~12시간 내에 변을 유발하므로 보통 자기 전에 복용하면 다음날 아침에 변을 본다. 

자극성 하제는 다른 변비약으로도 효과를 얻지 못했을 경우에만 사용해야 한다. 

비사코딜은 장용성제제로 위 자극과 구토를 피하기 위해 통째로 삼켜야 한다. 제산제, H2 blocker, PPI, 우유 섭취 후 1-2 시간 내에는 약 섭취를 피해야 한다. 

  12세 이상 ( 하루용량 ) 6세 - 11세 ( 하루용량 )
비사코딜 5 - 15 mg ( 1알 ~ 3알 )
장 세척시 30mg 까지
5 - 10 mg
센나 12 - 50 mg 6 - 25 mg
파자마유    

 

 


▶ 연화성 하제 ( emollients )

: 계면활성제다. 변 표면의 습윤작용을 증가시키고 마찰을 줄여서 변이 통과하도록 한다. 

힘주기를 피해야 하는 치핵, 탈장, 심근경색 환자에게 사용할 수 있다. 

  12세 이상 6세 - 11세
docusate sodium 100 - 300 mg 50 - 100 mg
docusate calcium 240 mg 의사지시대로
docusate potassium 100 - 300 mg 100 mg

 

 


▶ 염류성 하제 ( saline agents )

: 나트륨, 마그네슘, 인산 같은 염 들은 대장으로 물을 유입시킨다. 마그네슘 변비약이 제일 많이 사용된다. 

수산화마그네슘, 마그밀정이 흔히 알려져 있다. 신장기능이 저하된 사람들은 조심해서 사용해야 한다. 

반응형

댓글